"함께해봄협동조합은 주민참여예산제 운영진단, 교육 목표에 따른 과정 설계, 교육 운영 등 전 과정을 행안부 주민참여예산제 컨설턴트가 직접 진행합니다."
- 주민참여예산학교
- 찾아가는 예산학교
- 대상별(청소년, 청년, 여성, 장애인, 다문화 등) 교육
- 참여예산위원회 교육
- 참여예산 지역회의(주민자치회) 교육
- 연구회, 지원협의회, 예산감시 등 교육
- 사업부서 담당 공무원 교육
주민참여예산제 도입 취지와 운영 목적에 따라, 자치단체와 주민의 거버넌스를 강화하기 위한 주민의 권한과 역할을 이해합니다. 또한 주민제안사업 발굴 방법과 제안서 작성 실습을 통해 실질적인 참여 방법을 안내합니다.
◇ 교육시간 : 2~3시간
◇ 주요 교육내용
- 지방자치단체 예산과정의 주민참여 의미와 주민참여예산제 이해하기
- 우리 지역 주민참여예산 운영의 특징 및 운영계획 이해하기
- 주민참여예산 사업의 특징과 주요 사례
- 사업 의제 발굴 및 사업제안서 작성 방법 실습 및 컨설팅
◇ 교육시간 : 2~3시간
◇ 주요 교육내용
- 지방자치단체 예산과정의 주민참여 의미와 주민참여예산제 이해하기
- 우리 지역 대상별 주요 정책 추진 현황 이해하기
- 기추진 사업 진단을 바탕으로 개선 방안 아이디어 도출하기(주민의견서 작성 과정)
- 사업 의제 발굴 및 사업제안서 작성 방법 실습 및 컨설팅 (주민제안서 작성 과정)
◇ 교육시간 : 회당 2~3시간
◇ 주요 교육내용
- 지방재정 및 예산과정의 이해
- 주민참여예산위원의 역할과 책임
- 사업제안서 작성 및 구체화 과정
- 주민제안사업 심사의 의미와 우선순위 결정 방법
- 사업모니터링의 의미와 모니터링 진행 실습
- 주민의견서 작성 방법
- 그밖에 중기지방재정계획 의견 수렴 등
지자체 운영계획에 따른 위원회 활동 강화 지원
◇ 교육시간 : 회당 2~3시간
◇ 주요 교육내용
- 지역회의 운영 방법(회의 운영과 갈등관리)
- 다양한 회의 기법 활용하기(퍼실리테이션)
- 지방재정 및 예산과정의 이해
- 지역회의(주민자치회)위원의 역할과 책임
- 읍·면·동 예산의 특징 이해(지역숙원사업 등)
- 주민자치회 기본교육 및 심화교육
- 주민자치회와 예산의 이해(주민참여예산, 보조금,
자체재원 활용 등)
지방자치단체 주민참여예산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 의회, 주민참여기구, 시민사회 등 주요 이해당사자가 지속해서 제도 평가 및 개선 방안을 고민해야 합니다.
제도 활성화를 위한 주민참여예산기구 교육 및 성과공유회, 공론장, 토론회 운영을 지원합니다.
◇ 교육시간 : 과정별 협의
◇ 주요 교육내용
- 행안부 주민참여예산 평가지표 이해
- 주민참여예산제 운영 우수 사례
- 주민참여예산제 운영 성과를 공유하고
제도개선 방안 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 운영
◇ 교육시간 : 2~3시간
◇ 주요 교육내용
- 참여예산제도 소개
- 운영계획 안내
- 제안사업 발굴하기
- 사업제안서 작성하기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로26길 39, 5층
(성산동, 시민공간나루)
우.03969
대표전화. 070-8260-7608
팩스. 02-3144-4709
메일. withaction2020@gmail.com